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을 많이 먹으면 신장결석에 걸릴 수 있다

by DRIN 2023. 8. 7.

목차

    반응형

    신장결석이란 무엇인가?

    신장결석이란 신장에서 미네랄이 결정화되어 형성되는 돌이다. 신장결석은 심한 통증, 구토, 발열, 오한, 혈뇨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신장결석은 단순히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감염, 신장팽대증, 신기능저하, 말기신부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북미에서는 인구의 7%에서 15%, 유럽에서는 5%에서 9%, 아시아에서는 1%에서 5%가 신장결석을 앓고 있다.

     

    신장결석의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신장결석의 위험인자로는 성인 남성, 비만, 만성 설사, 탈수,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 통풍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이 높은 것도 위험인자로 볼 수 있다고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은 탄산음료, 과일음료, 사탕, 아이스크림, 케이크, 쿠키 등에 많이 들어있다. "우리 연구는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과 신장결석과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보고한 연구다"라고 중국 남촌 북사천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연구원인 인 산 박사가 말했다.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을 줄이면 신장결석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과 신장결석과의 관계는 어떻게 밝혀졌나?

    인 산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국립보건영양조사(NHANES)에서 수집한 28,303명의 성인 남녀의 역학적 데이터를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과거에 신장결석을 앓았던 적이 있는지 스스로 보고했다. 각 참가자의 하루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은 최근에 먹은 음식과 음료를 기억하여 두 번 보고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 번은 대면 인터뷰에서, 다른 한 번은 3일에서 10일 사이에 전화 인터뷰에서 보고하였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지난 24시간 동안 시럽, 꿀, 덱스트로스, 프럭토스, 순수한 설탕 등을 먹었는지 물어보았다. 각 참가자는 건강한 식단 지수(HEI-2015)도 받았다. 이 지수는 과일, 채소, 통곡류 등의 유익한 식품 성분의 충분성과 정제곡물, 나트륨, 포화지방 등의 유해한 식품의 절제 정도를 요약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성별, 나이, 인종이나 민족, 상대적 소득, BMI, HEI-2015 점수, 흡연 여부, 당뇨병 과거력 등의 요인을 조절하여 연구 기간 동안 신장결석에 걸릴 위험을 계산했다. 연구 시작 시점에서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이 높은 참가자들은 신장결석의 현재 유병률이 높고, HEI 점수가 낮고, 교육 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평균 섭취량은 하루에 272.1 칼로리였으며, 이는 전체 일일 에너지 섭취량의 13.2%에 해당했다.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과 신장결석과의 인과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의 섭취량이 높을수록 신장결석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전체 일일 에너지 섭취량의 25% 이상을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으로부터 얻는 사람들은 전체 일일 에너지 섭취량의 5% 미만을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으로부터 얻는 사람들보다 신장결석에 걸릴 위험이 88%나 높았다. 이러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은 혈당과 인슐린 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는 신장에서 칼슘과 우라산 배출을 감소시키고, 산성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신장결석 형성을 촉진한다.
    •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은 비만과 당뇨병과 같은 대사 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사 증후군은 신장결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은 수분 섭취량을 감소시킨다. 물을 마시는 것보다 달콤한 음료를 마시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분 섭취량이 감소하면 신장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도 줄어들고, 소변의 농도가 증가한다. 이는 신장결석 형성에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 .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가공식품에 첨가된 설탕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다.

    • 탄산음료, 과일음료, 커피, 차 등의 달콤한 음료를 물로 대체하자. 물은 칼로리가 없으며, 신장결석 형성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물이 싫다면, 레몬이나 오렌지 등의 과일을 넣어 향과 맛을 더해줄 수 있다.
    • 사탕, 아이스크림, 케이크, 쿠키 등의 달콤한 간식을 과일, 견과류, 요거트 등의 건강한 간식으로 바꾸자. 이러한 간식들은 설탕뿐만 아니라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단백질 등의 영양소도 함께 제공한다 .
    •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를 잘 읽고, 첨가된 설탕의 양을 확인하자. 첨가된 설탕은 다양한 이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럽, 꿀, 덱스트로스, 프럭토스, 고과당 옥수수 시럽 등이 그렇다 . 가능하면 첨가된 설탕이 없거나 적은 제품을 선택하자.
    • 직접 요리하거나 베이킹할 때는 설탕의 양을 줄이거나, 자연적인 감미료로 대체하자. 예를 들어, 바나나, 사과, 당근 등의 과일과 채소는 달콤한 맛을 내면서도 다른 영양소도 함께 제공한다 . 스테비아나 에리스리톨과 같은 자연적인 감미료도 설탕보다 칼로리가 낮고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