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개발

[C언어] 주석 처리

by DRIN 2016. 10. 1.

목차

    반응형

    오늘은 C언어에서 필수 아닌 필수인 주석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주석은 영어로 comment로 메모를 뜻합니다.

    이 주석은 컴파일에서 제외가 되기때문에 쓰든 안쓰든 컴파일 오류의 대상이 되지를 않습니다.

    그러면 왜 귀찮게 주석을 달아야하는 걸까요?


    C언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고급언어라고는 하지만 일상에서 사용하는 자연어만큼은 이해하기 쉽지가 않습니다.

    자기 자신이 짠 코드는 다 알지않을까요? 라는 생각을 가지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코드가 짧으면 금방 알수있지만, 코드가 길게될경우 아무리 자신의 코드라도 이해하는데 적지않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됩니다.

    이 주석을 다는 것은 C언어외에 언어들의 공통점으로 존재하는 명령어인데요.

    그만큼 주석이 중요하다는 것이겠지요?


    지금 배우는 단계에서는 혼자서 코딩작업을 하지만, 

    나중에 회사를 들어가시거나 팀프로젝트를 하게되면, 서로 서로의 코드를 이해해야합니다.

    이때 필요로하는게 바로 주석입니다.

    이 부분의 코드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작성한 코드이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이렇게 주석을 적어놓게되면 코드를 이해하는데 더욱 적은 시간이 소요되고, 프로젝트의 완성까지 기간이 짧아집니다.

    물론 혼자서 작업한 프로젝트도 그러합니다.

    몇백줄에 걸쳐 작성된 코드들을 전부 다 머릿속에 넣고있을수는 없기때문이죠.


    하지만 너무 많은 주석을 쓸 경우에는 오히려 이해하는데 독이 될수도 있으니 적당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주석은 꼭 메모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코드를 기껏짯는데 필요없게 되었는데 코드를 지우기 아까울 경우 혹은 컴파일 했을시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해 주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코드를 주석처리해버리면 해당된 코드들은 컴파일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이죠.

    그럼 이런 필수 아닌 필수인 주석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아야겠지요?


    주석에는 두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블록단위의 주석 그리고 행단위의 주석이 있습니다.

    주석을 사용하는 방법은 너무도 간단한데, 먼저 블록단위 주석을 달아보겠습니다.

    /* 블록단위주석 */

    혹은 

    /*

    블록단위주석

    */

    이런식으로 사용합니다.


    블록이라는 뜻 그대로 주석 블록안에 있는 모든 것들을 주석처리해버립니다.

    코드가 길거나 메모가 두 줄이상이 될경우 블록단위 주석을 사용합니다.

    물론 짧은 메모에도 사용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음은 행단위의 주석입니다.

    행 단위라는 말 그대로 그 줄에 해당하는 모든 것을 주석처리해버립니다.

    사용법은 이러합니다.

    //행단위 주석!

    //만 쓰면 되니 너무도 간단하지요?


    그래서 저는 이런 방식을 추천합니다.

    두줄이상의 코드 혹은 메모를 할경우에는 블록단위주석, 한줄의 코드 혹은 메모를 할경우에는 행단위주석! 이렇게 사용합니다.

    꼭 제가 추천한 방식대로 안하셔도됩니다.

    각자만의 스타일이 있으니 편하신대로하면 그게 장땡!


    참고로 블록단위 주석은 중첩이 불가능하니 사용하지 않기를 바라며, 

    블록과 행은 중첩이 가능하나 하나마나이기때문에 가급적 사용않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항상 주석을 다는 습관을 가집시다~!

    2016/09/30 - [C 언어] - [C언어] 함수 그리고 첫 소스코드 분석

    2016/09/30 - [C 언어] - [C언어] C프로그래밍 작업공간 마련 그리고 테스트

    2016/09/29 - [C 언어] - [C언어] 프로그램 완성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