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개발

[C언어] 변수 그리고 주의사항

by DRIN 2016. 10. 2.

목차

    반응형

    저번시간에 이어 오늘은 변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변수는 언제든지 변할수있는 수로써 수학에서는 x,y,z등으로 놓습니다.

    변수에는 어떠한 숫자가 들어갈지 모르기때문에 숫자가 아닌 영문으로 놓는 것입니다.


    즉 변수는 "숫자를 담는 그릇"이라고 표현하면 되겠군요.


    하지만 C언어에서의 변수는 모든 숫자를 담을수가 없습니다.

    정수면 정수, 실수면 실수라고 범위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정수는 영어로 'integer'라고 합니다.

    이 integer를 C언어에서는 간단하게 int라고 씁니다.

    int는 메모리 크기를 4byte차지하며, -2,147,483,648~ 2,147,438,647까지의 숫자를 담을수 있습니다.

    사실상 거의 모든 정수를 담을수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정수 num이라는 변수를 선언할때에는 

    int num;

    이라고 선언합니다.


    이때 num같은 변수명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변수명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되고,

    _외에 특수문자는 사용불가능하고,

    변수명에 공백이 들어가 있으면 안됩니다.


    이 3가지를 예로 들어사용하면

    int 1num;

    int num#;

    int n u m;

    이런식의 변수명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럼 이제 우리는 일일이 숫자를 사용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변수들로 입력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입력을 받는 것은 나중에 강의할 예정입니다.


    우선 우리가 배운 prinf명령어로 변수에 저장된 숫자를 출력해볼겁니다.

    #include<stdio.h>

    int main(){

    int a=1;

    int b=2;

    printf("a+b의 출력결과는 %d입니다.\n",a+b);

    return 0;

    }

    이런식으로 출력을 할수 있습니다.


    결과는 

    a+b의 출력결과는 3입니다.

    라고 출력이 되게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더 응용을 해볼수있습니다.

    int sum이라는 변수를 하나 더 선언하여, 합계를 넣어준뒤 출력할수도있습니다.

    int sum;

    sum=a+b;

    printf("a+b의 출력결과는 %d입니다.\n",sum);

    이렇게 말이죠.


    이렇게 변수를 설명드렸는데, 숫자를 사용하는게 더 편하지않느냐? 

    하고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뭐 숫자를 사용하든 변수를 사용하든 개발자의 마음이지만, 

    숫자를 사용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숫자가 바뀌면 전부다 다시 고쳐써야합니다.


    만약 변수를 사용하였으면 변수를 선언한 곳의 숫자만 살짝 바꿔주시면 되죠.


    때문에 변수가 싫어도 사용할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그리고 변수를 사용하실때는 변수명을 아무렇게나 짓는것보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봅시다~

    2016/10/01 - [C 언어] - [C언어] 연산자

    2016/10/01 - [C 언어] - [C언어] printf의 사용법 그리고 주의 사항

    2016/10/01 - [C 언어] - [C언어] 주석 처리


    반응형